
지난해 아파트 청약자 10명 중 6명이 수도권에 청약을 시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갈수록 치솟는 분양가로 인해 수요자들의 옥석가리기가 이어지면서 수도권 편중현상이 더욱 심해졌다는 것이 업계의 분석이다.
15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지난해 269개 분양 사업지에 순위 내 청약 통장을 사용한 총청약건 수는 112만8540건으로 나타났다. 지난 2022년 429개 사업지, 102만1502건과 비교해 10.48% 상승한 수치다.
주목할 부분은 수도권 중심으로 청약시장의 쏠림현상이 이뤄진 점이다. 지난해 전체 청약자의 59%(66만3068건)가 수도권에 청약통장을 사용하면서 2022년 41%(41만4652건)과 비교해 18%포인트 올랐다. 10명 중 6명이 수도권에 내집 마련을 희망한 셈이다.
반면, 같은 기간 지방은 2022년 59%(60만6850건)에서 2023년 41%(46만5472건)로 청약수요가 줄어들면서 수도권 쏠림현상이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기도가 30%를 차지한 가운데 서울특별시가 청약통장의 24%를 모으면서 두 지역에서만 전국 청약건수의 절반을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와 서울시 순위 내 청약자는 60만8552명을 기록하며 2022년보다 30만6471명이 늘었다. 지난해 전국 순위 내 청약경쟁률 10위 이내의 상위 단지는 모두 수도권에 자리 잡은 사업지들이었다.
수도권 내에서도 지역 선호현상이 두드러졌다. 경기와 서울이 인기를 끈 반면 인천광역시는 5%(5만4516건)로 2022년 기록했던 11%의 절반에 머물렀다. 업계에서는 지난해 4만가구가 넘는 대규모 입주 물량이 공급되면서 청약시장이 얼어붙었다고 진단했다.
업계에서는 자재가격과 인건비 인상에 따른 분양가 상승으로 일어난 수도권 쏠림현상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고분양가 부담이 이어지면서 상대적으로 인기가 높은 수도권, 특히 서울 강남권과 이에 인접한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청약 수요가 꾸준할 것"이라며 "주변 시세와 비슷한 시기 분양을 실시한 단지의 분양가, 개발호재 등을 모두 고려한 수요자들의 옥석가리기가 올해에도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동현 기자 gaed@fortunekorea.co.kr